더핑크퐁컴퍼니 상장 | 공모·청약·상장일·주가전망 (공모가·경쟁률·매출·리스크 완전분석)


“핑크퐁 아기상어”로 유명한 그 회사, 더핑크퐁컴퍼니 상장한다

“유튜브 200억 뷰 IP 기업이 코스닥에 등장한다면, 시장 반응은 어떨까?”
이 질문이 바로 지금 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이슈입니다.

더핑크퐁컴퍼니는 단순한 캐릭터 회사가 아닙니다.
콘텐츠·머천다이즈·체험사업·AI제작기술까지 아우르는 ‘종합 콘텐츠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죠.

이번 상장은 단순 IPO가 아닌, 한국 콘텐츠 산업의 기술화 전환 신호탄이라는 평가까지 나옵니다.
이 글에서는 최신 공모 정보부터 경쟁사 매출, 주가전망, 리스크 요인까지 9단계로 나눠 정리했습니다.


1️⃣ 더핑크퐁컴퍼니 기업 개요

📌 글로벌 IP 콘텐츠 기업으로의 성장
• 대표 IP ‘핑크퐁’과 ‘아기상어’는 전 세계 245개국에서 콘텐츠를 유통 중이며, 유튜브 총 조회수는 1,900억 회를 돌파했습니다.
•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약 76%가 해외에서 발생, 북미·유럽·동남아를 중심으로 확장 중입니다.
• 콘텐츠 제작·라이선스·MD·체험형 콘텐츠까지 수익원을 다각화하며 IP > 플랫폼 > 체험사업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 시장 포지션
• 키즈 콘텐츠 시장 내 대표 경쟁사로는 SAMG엔터테인먼트, 대원미디어, 삼지애니메이션 등이 있습니다.
• 이들과 달리 더핑크퐁컴퍼니는 자체 제작 + IP 직영화 + 글로벌 플랫폼 기반이라는 차별점이 강합니다.


2️⃣ 공모 및 청약 일정 요약

📌 청약 기본 정보
• 공모 희망가: 32,000 ~ 38,000 원
• 확정 공모가: 38,000 원 (상단 확정)
• 수요예측 경쟁률: 615 : 1로 흥행 성공
• 공모주식 수: 2,000,000주 (신주모집)
• 청약일: 2025 년 11 월 6 ~ 7 일
• 상장일: 2025 년 11 월 18 일(화)
• 주관사: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 공모 결과 해석
• 기관투자자 2,300여 곳이 참여했고 99% 이상이 상단 제시.
• 공모금액 약 760억 원,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 약 5,453억 원으로 평가됩니다.


3️⃣ 최근 실적 및 수익구조 분석

📌 2024년 실적 (연결기준)

구분매출액영업이익영업이익률
2022703 억원23 억원3.2 %
2023974 억원188 억원19.3 %
2025 1Q241 억원61 억원25.3 %

📌 수익 구조 특징
• 콘텐츠 제작·유통: 전체 매출의 68 %
• 라이선스·MD: 20 %
• 체험·공연사업: 10 %
콘텐츠 중심의 고마진 구조로 전환 중

📌 전략 방향
• AI 더빙·3D 렌더링 기술을 활용해 제작비 절감
• 글로벌 다국어 버전 동시 출시로 회전율 개선
• MD와 라이선스는 ‘아기상어’ 외 신규 IP 중심으로 확대


4️⃣ 기술 경쟁력 및 차별화 포인트

📌 AI 콘텐츠 제작 체계 구축
• 자사 AI 더빙 솔루션을 통해 각국 언어 버전 자동화 → 제작기간 단축 + 비용 절감
• 3D 콘텐츠 제작 및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으로 흥행 예측 모델 확보

📌 플랫폼 다변화 전략
• 유튜브·OTT (넷플릭스·티빙) 외에 자체 앱 ‘핑크퐁 플레이’ 운영
• 글로벌 채널 현지화: 영어·스페인어 등 20개국 언어 제공

📌 핵심 경쟁력 요약

요소더핑크퐁컴퍼니경쟁사(SAMG엔터 등)
주력모델콘텐츠 중심머천다이즈 중심
해외비중76 %25 ~ 30 %
기술활용AI·3D 제작전통적 스튜디오형
영업이익률20 %대10 % 내외

5️⃣ 경쟁사 비교 분석 (2024 실적 기준)

📌 매출·수익성 비교표

기업명매출액영업이익영업이익률주요특징
더핑크퐁컴퍼니974 억 원188 억 원19 %IP + 콘텐츠 중심, 글로벌 76 %
SAMG 엔터테인먼트711 억 원116 억 원16 %머천다이즈 비중 높음
대원미디어1,257 억 원82 억 원6 %완구·출판 중심, 내수강세
삼지애니메이션610 억 원55 억 원9 %시리즈 애니·IP 제휴형

📌 비교 해석
• 더핑크퐁컴퍼니는 매출 규모는 중상위권이지만, **영업이익률이 업계 최고 수준(20 %)**으로 수익성이 탁월합니다.
• 해외 매출 비중과 기술 기반 효율화가 차별화 포인트이며, 경쟁사 대비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 다만 ‘히트 IP 의존도’와 ‘밸류 부담’이 투자 리스크로 지적됩니다.


6️⃣ 밸류에이션 및 주가전망

📌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38,000 원 × 총 주식 14,350,000주 = 약 5,453억 원
• EV/EBITDA 15 배 수준으로, 국내 콘텐츠 평균(10~12 배) 보다 약간 높음

📌 상장 직후 시나리오

  • 긍정 시나리오: 신규 IP·글로벌 성과 가시화 → 상장 첫날 10~20 % 상승
  • 중립 시나리오: 기대감 반영 완료 → 공모가 수준 등락
  • 리스크 시나리오: 밸류 부담 + 시장 변동성 → 단기 하락 가능

📌 중장기 성장 포인트
• 신규 IP 런칭 및 글로벌 시리즈 확대
• AI 제작 + 데이터 기반 콘텐츠 고도화
• 머천다이즈 · 체험사업 수익 다변화


7️⃣ 투자 리스크 및 주의사항

📌 핵심 리스크 4가지

  • 히트 IP 의존 리스크 – ‘아기상어’ 성과에 매출이 집중됨
  • 밸류에이션 피로감 – 상단 공모가로 이미 기대치 반영
  • 글로벌 콘텐츠 경쟁 심화 – 유튜브 및 OTT 플랫폼 변수
  • 플랫폼 수익정책 변경 위험 – 알고리즘·광고정책 변경 시 타격 가능

📌 리스크 완화 요인
• AI 제작 및 신규 IP 다작전략으로 매출 원천 다변화
• 글로벌 파트너사(넷플릭스·아마존 프라임 등) 확대
• 체험형 콘텐츠 (LBE) 사업으로 비콘텐츠 수익 보강


8️⃣ FAQ

Q1. 상장일은 언제인가요?
A. 2025 년 11 월 18 일(화)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입니다.

Q2. 공모가는 얼마로 확정되었나요?
A. 38,000 원으로 상단 확정 되었습니다.

Q3. 공모주 경쟁률은 어땠나요?
A.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615 : 1 로 매우 높았습니다.

Q4. 상장 후 주가전망은 어떻습니까?
A. 초기에는 공모가 전후 등락이 예상되며, 신규 IP 성과 및 해외 매출 성장이 가시화될 경우 재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Q5. 경쟁사 대비 강점은 무엇인가요?
A. 해외 매출 비중 76 %, 영업이익률 20 %, AI 제작 기술 보유 등으로 수익성과 확장성이 우수합니다.


마무리

더핑크퐁컴퍼니의 상장은 단순한 공모 이슈를 넘어,
**‘한국 콘텐츠 산업의 기술혁신과 글로벌화의 바로미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공모가는 상단에서 결정되어 밸류 부담은 있지만,
흑자 전환·AI 제작 기술 · 해외 매출 확대 등이 확실한 성장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시세차익 보다 중장기적 IP 확장 성과를 기다리는 전략이 현명합니다.
콘텐츠 산업 내에서 ‘AI + IP + 글로벌’ 을 모두 갖춘 국내 드문 기업이라는 점에서,
이번 상장은 단순 투자 대상이 아닌 콘텐츠 산업의 변곡점으로 보아야 합니다.
모든 투자는 자신의 책임하에 이루어지는 만큼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