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2025년 하반기, **큐리오시스(Curiosis)**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세포 이미징 자동화 장비”라는 신성장 분야에 뛰어든 기업답게, 투자자들은 **‘2차 바이오 성장주’**로 평가하고 있죠.
하지만 진짜 관건은 단순한 IPO 기대감이 아닙니다.
👉 ① 상장 후 유통물량 리스크,
👉 ② 수익성 확보 시점,
👉 ③ 기술 실현력 — 이 세 가지가 큐리오시스 주가전망의 핵심 변수입니다.
1️⃣ 기업 개요 및 IPO 모멘텀
📌 기본정보
- 회사명: 큐리오시스 (Curiosis Inc.)
- 설립연도: 2015년
- 사업영역: 생명과학기기·의료기기·랩오토메이션 장비 제조
- 대표제품:
Celloger®,Cellpuri®,Spinwash™ - 상장방식: 기술특례상장 (A등급)
- 상장주관사: 미래에셋증권
- 공모가 밴드: 18,000원 ~ 22,000원
- 예상 시가총액: 약 1,370억 ~ 1,670억
📌 IPO 일정 요약표
| 구분 | 일정 | 비고 |
|---|---|---|
| 기관 수요예측 | 2025.10.27 ~ 10.31 | 기술특례상장 |
| 일반 청약 | 2025.11.05 ~ 11.06 | 미래에셋증권 단독 |
| 상장일 | 2025.11.13(예정) | 코스닥 신규상장 |
| 보호예수 해제 | 상장 1개월~3개월 후 | 유통물량 확대 구간 |
📌 IPO 모멘텀 해석
- 2025년 4분기 코스닥 시장에서 단독 상장 예정이라 경쟁 공모주 부재로 자금 집중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다만 공모가 밴드 상단이 PER 27배 수준으로, “고평가 논란”도 존재합니다.
- 수요예측 결과가 공모가 확정의 방향을 좌우하며, 청약경쟁률이 높을 경우 단기 상장 시세차익 기대도 있습니다.
2️⃣ 기술력·시장성 분석
📌 핵심 기술력
- 라이브 셀 이미징 시스템(Celloger®)
- 세포를 배양 상태 그대로 실시간 관찰 가능
- 기존 장비 대비 분석 속도 3배, 데이터 정밀도 2배
- 세포 분리 장비(Cellpuri®)
- 원심분리 기반 세포농축 기술로, 오염 최소화 및 자동화 실현
- 스핀워시(Spinwash™)
- 마이크로플레이트 세정 자동화 장비로 글로벌 수출 중
📌 기술특례상장 평가 요약
| 항목 | 평가등급 | 내용 |
|---|---|---|
| 기술성 | A | 생명과학 자동화 장비 자체개발 능력 |
| 사업성 | A | 글로벌 시장 성장성 입증 |
| 기술 평가기관 | 이크레더블, 기술보증기금 | 특례상장 통과 |
📌 시장 전망
- 글로벌 랩오토메이션 시장은 2025년 약 12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코로나19 이후 자동화 실험 장비 수요 급증, 신약개발·세포치료제 연구 확산.
- 큐리오시스는 국내 1세대 **‘세포분석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평가됨.
3️⃣ 경쟁사 비교 분석
| 구분 | 큐리오시스 | 싸이토젠 | 나노엔텍 | 로고스바이오 |
|---|---|---|---|---|
| 주요 제품 | Celloger® / Cellpuri® | 순환종양세포 분석 | 미세유체칩 분석 | 실험 자동화 장비 |
| 매출(2024) | 약 47억 | 약 190억 | 약 260억 | 약 320억 |
| 영업이익률 | -136% | -12% | +6% | +8% |
| 글로벌 진출 | 20개국 수출 | 제한적 | 있음 | 있음 |
| 기술특례등급 | A/A | 일반상장 | A | A |
| 주가밸류 (PER) | 약 27배(추정) | 약 21배 | 약 23배 | 약 24배 |
📌 경쟁 포인트 요약
- 큐리오시스는 매출은 작지만 기술 차별성이 강하고, 시장 진입 시점이 빠름.
- 다른 경쟁사보다 실험자동화 집중도가 높고, 세포 기반 이미지 분석에 특화되어 있음.
- 향후 3년 내 글로벌 파트너사 확보 여부가 ‘성장 모멘텀’의 결정 요인.
4️⃣ 재무 현황 및 실적 추정표
📌 최근 실적 요약 (단위: 억원)
| 연도 | 매출액 | 영업손실 | 순손실 | 비고 |
|---|---|---|---|---|
| 2022 | 48 | -44 | -47 | 기술개발 투자 확대 |
| 2023 | 32 | -66 | -69 | 원가 부담 증가 |
| 2024E | 47 | -64 | -65 | 흑자전환 전 단계 |
| 2025E | 75 | -25 | -22 | 매출 성장률 +60% 가정 |
| 2026E | 120 | +10 | +7 | 첫 흑자전환 예상 |
📌 분석 요약
- 2026년 실적 개선 기대: 신규 장비 양산 + 해외수출 본격화 시 영업이익 전환 가능.
- 단, 현 시점에서는 아직 적자 상태로, 매출 증가가 반드시 동반돼야 합니다.
5️⃣ 상장 후 유통물량 구조 분석
📌 유통 가능 물량(공모주 포함) 비중 추정
| 구분 | 상장 직후 | 1개월 후 | 3개월 후 | 6개월 후 |
|---|---|---|---|---|
| 유통 가능 주식수 | 37만주 | 123만주 | 154만주 | 172만주 |
| 비율(%) | 15.2% | 50.1% | 62.5% | 70.0% |
👉 분석 포인트
- 보호예수 해제 시점(3개월 후) 전후로 물량 출회 가능성 높음.
- 상장 초반 단기 수급에 따라 고점 형성 후 조정 국면 진입 가능.
6️⃣ 밸류에이션 및 주가전망
📌 밸류에이션 산정 근거
- 비교기업: 싸이토젠, 나노엔텍, 로고스바이오
- 평균 PER: 25배
- 큐리오시스 2026E 예상순이익 7억원 기준 → 적정 시총 약 1,750억원
- 주당 가치 환산 시 약 22,000원 수준으로 공모가 상단에 근접.
📌 시나리오별 주가전망
| 구분 | 조건 | 예상주가 | 비고 |
|---|---|---|---|
| 낙관 시나리오 | 글로벌 납품계약 + 흑자전환 성공 | 30,000원 | 상장가 대비 +35% |
| 기본 시나리오 | 점진적 성장, 수익성 확보 지연 | 21,000원 | 공모가 수준 |
| 비관 시나리오 | 매출 부진·물량 출회 확대 | 15,000원 | 공모가 하회 |
7️⃣ 리스크 요인 총정리
📌 재무 리스크
- 누적 적자 지속 중, 자본잠식 해소 초기단계.
📌 밸류에이션 부담
- 상장 전부터 PER 27배 수준으로 고평가 논란.
📌 수급 리스크
- 보호예수 해제 시점(3개월 후) 매도 압력 증가 예상.
📌 기술 실현 리스크
- 제품 상용화 및 해외 대량납품이 계획보다 지연될 가능성 존재.
8️⃣ 투자전략 가이드
📌 단기 투자자
- 청약경쟁률·수요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상장 첫 주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음.
- 다만 유통물량 폭증 전(1개월 이내)에는 반드시 차익실현 전략 필요.
📌 중장기 투자자
- 실적 전환(2026E 기준) 가능성을 보고 장기보유 가능하나, 실적 가시화 전에는 분할매수 전략 권장.
- 향후 ‘신약개발 기업과의 공급계약’, ‘해외 OEM 협력’ 등의 뉴스 플로우가 주가 촉매로 작용할 전망.
📌 투자자 주의사항
-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 IPO 기업은 고변동성이 특징이므로 투자 시점보다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결론 요약
| 핵심요소 | 평가 | 설명 |
|---|---|---|
| 기술력 | ★★★★★ | 세포 자동화 이미징 핵심기술 |
| 시장성 | ★★★★☆ | 글로벌 성장시장 진입 |
| 재무안정성 | ★★☆☆☆ | 적자 지속 중 |
| IPO모멘텀 | ★★★★☆ | 단독 상장 효과 |
| 중장기 전망 | ★★★★☆ | 실적 개선 시 리레이팅 가능 |
👉 총평:
큐리오시스는 ‘기술력’ 하나로 상장하는 전형적 기술특례기업입니다.
단기적으로는 IPO 모멘텀에 의한 상승 기대가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실적 개선과 글로벌 계약 실현 여부가 주가를 좌우할 것입니다.
따라서 초기 투자자는 청약·단기 트레이딩, 중장기 투자자는 실적 가시화 이후 진입이 바람직합니다.









